본문 바로가기
일상/공부(테샛)

01.경제학 기초

by treedoll 2022. 2. 22.
반응형

1.경제학이란?

(1)개념

①경제학은 희소한 경제적 자원을 활용하는 최선의 방법을 선택하는 학문이다.

②따라서 희소성(scarcity)과 선택(choice)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경제학의 본질을 형성하고 있다.

 

(2)희소성의 법칙-자원제한, 욕망 무한

①인간의 욕망은 무한한 데 비하여 이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경제적 자원은 제한되어 있어서 경제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②경제적 자원이 제한되어 있다는 의미는 ㅈ화의 절대적인 양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욕망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을 말한다.

 

(3)합리적 선택

①합리적인 선택이란 여러 선택 가능성 중 가장 작은 대가를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②그러므로 합리적 선택을 위해서는 각가의 선택이 요구하는 대가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야 하며 이 선택의 대가를 경제학에서는 기회비용이라는 개념으로 나타낸다. 

→경제적 의사결정은 총이득과 총비용을 비교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한계이득 또는 한계편익과 한계비용을 비교하여 의사결정을 한다. 

 

 

(4)기회비용

1)개념 : 기회비용이란 어떤것을 선택함으로써 포기할 수 밖에 없는 많은 선택가능성 중에서 가장 가치 있는 것을 말한다.

2)기회비용과 회계비용의 차이점 

①비용계산 시 명백한 비용(explicti cost)만을 포함하느냐 아니면 암묵적인 비용(implict cost)까지도 포함하느냐에 있다.

②회계비용에는 인건비, 임대료 등 누가 보아도 비용임이 명백한 것들 만이 포함되어 있지만, 기회비용에는 명백한 비용뿐 아니라 아묵적 비용도 포함된다. 

      => 기회비용=명시적 비용(회계비용)+암묵적 비용

 

(5)매몰비용(sunk cost) : 매몰비용의 기회비용값은 "0"

①매몰비용이란 일단 지출된 후에는 다시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을 말한다.

②매몰비용은 명백한 비용이기는 하지만 경제적 의사결정 시 고려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 

 


2.경제의 3대 문제

(1)개념

첫째. 무엇을 얼마나 생산할 것인가.(what & how much to produce)

둘째. 어떻게 생산할 것인가.(how to produece)

셋째. 누구를 위하여 생산할 것인가.(for whom to produce)

                                 by. 사무엘슨(미국 경제학자)

 

(2)경제 3대 문제 

1)생산물의 종류와 수량; 어떤 재화를 얼마만큼 생산할 것인가?

2)생산방법; 어떻게 생산 할 것인가?

3)소득분배; 누구를 위하여 생산할 것인가?

  →최근 경향은 자원의 한정으로 인해 언제 생산할 것인가에 주목하고 있다. 

     부존량이 한정된 석유, 석탄, 기타광물을 세대간에 어떻게 배분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3.경제 활동 

(1)개념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분배,소비하는 행위를 말한다.

 

(2)경제활동의 종류 

1)생산 : 경제주체들이 필요로 하는 재화나 서비스를 새로 만들거나 원래의 가치를 증대시키는 활동

2)분배 : 생산 활동에 생산요소를 제공하고 대가를 받는 활동 또는 한 사회 내에서 산출된 소득을 생산에 참가한 구성원 사이에 나누어 갖는것

3) 소비

①자신의 만족을 얻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재화나 서비스를 구입하거나 사용하는 활동, 다른 재화의 생산을 위해 사용되는것은 제외

②기업이 기계 및 설비 등을 구입하는 것은 다른 재화의 생산을 위해 구입하는 것이므로 소비로 보지 않는다 

 


4.경제주체와 경제객체 그리고 생산요소 

(1)경제주체 

1)개념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개인이나 집단을 의미. 가계, 기업, 정부, 외국의 4가지로 구성

2)경제주체의 종류

①가계

-생산요소의 공급을 통해 얻은 소득으로 소비활동을 한다

-가계는 효용의 극대화를 추구한다.

②기업

-생산요소를 사용하여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한다

-기업은 이윤의 극대화를 추구한다.

③정부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거나 소비한다. 따라서 상품의 생산자와 소비자 역할을 모두 수행

-정부는 사회후생 극대화를 추구한다.

-정부는 국방이나 치안 같이 전통적으로 정부의 책임이라고 여겨져 온 분야 이외에

 교육, 복지, 사회간접자본 등 여러분야에서 역할이 커지고 있다

④외국

 -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여 타국에 수출하거나 타국의 재화와 서비스를 수입한다. 

 

(2) 경제객체 - 경제 행위의 대상

1)개념 ; 경제행위의 대상으로 재화 및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2)경제객체의 종류 

①재화(goods)

  - 재화는 인간의 욕망을 충족 시킬 수 있는 효용을 지닌 외형이 있는 물자이며 자유재와 경제재로 구분된다. 

  -자유재 :  부존량 무한, 희소성의 법칙 성립(X), 경제문제 발생(X)

  -경제재 :  부존량 유한, 희소성 법칙 적용, 대가 지불 필요

  -과거 자유재에서 시간이 흐른뒤 경제재로 변화할 수 있다 

     ex)물 

     cf) 소비재(소비에 필요) vs 생산재(생산에 필요)  

 ②서비스(service) : 외형이 없고 효용을 가지고 있는 행위 

 

(3) 생산요소(factors of production) 또는 투입요소(inputs)

1)개념 ; 생산요소란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2)생산요소의 종류

① 노동(labor)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노동자들의 육체적 및 정신적 노력

-노동투입에 대한 대가로 노동자는 임금을 얻게 되는데 임금은 노동시장에서 결정

② 자본(capital)

-자본이란 기계 및 공장설비 등을 말하는 것으로 생산자가 생산에 사용하는 재화

-자본투입에 대한 대가로 자본가는 이자수입을 얻게 된다.

③토지(land)

-토지는 천연자원을 대표하는 개념, 광물, 석유등을 포함

-지주는 토지사용을 대가로 지대를 얻게 됨 

-지대(rent)란 토지와 같이 공급이 완전히 고정된 생산요소에 대한 대가를 의미한다.

-지대는 토지사용에 대한 대가로 제한하지 않고 공급이 고정된 생산 요소에 대한 보수

④경영(management)

-경영이란 사업이나 기업 등의 조직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하는 기업가의 능력이나 활동

-기업가의 능력에 대한 대가로 이윤을 얻게 된다

 


5.경제 순환 모형

(1)개념

① 경제순환 모형이란 경제주체와 경제객체가 각 시장에서 거래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형

② 일반적으로 외국을 제외한 가계, 기업, 정부만 있다면 아래 그림과 같이 생산물 시장과 생산요소 시장에서 거래하게 된다.

(2)민간경제의 경우

① 경제주체는 가계와 기업으로 분류된다.

② 생산물시장에서 가계는 구입자가 되고 기업은 판매자가 된다. 

③ 생산요소시장에서 기업은 구입자가 되고 가계는 판매자가 된다. 

④ 안쪽 화살표는 생산물과 생산요소의 흐름을 나타내고 바깥쪽 화살표는 화폐의 흐름을 나타낸다.

 


 

6. 생산가능곡선

(1)개념

①생산가능 곡선(production possibility curve:PPC)이란 주어진 요소투입량으로 최대한 생산 가능한 재화의 조합을 나타내는 곡선

② 일반적으로 우하향하며 원점에 대하여 오목한 형태를 갖는다.

 

(2) 생산가능 곡선상의 내부, 외부점

① 생산가능 곡선상의 모든 점들은 효율성을 갖춘 점들이다. 일반적으로 자원의 낭비가 없으면 효율성이 달성된다.

② 생산가능곡선 내부의 점들은 비효율적인 점들을 의미한다. 노동량 중 일부만 투입되거나, 자본량중 일부만 활용되면 비효율성이 발생된다. 

③ 생산가능 곡선 외부의 점들은 생산이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외부의 생산점은 현재 기술력과 생산요소를 통해서는 생산할 수 없다.

 

 

(3)생산가능곡선 내부에서 선상으로 이동과 생산가능 곡선 자체의 이동

1)생산가능 곡선 내부에서 선상으로의 이동

 : 비효율적인 상태에서 효율적인 상태로 바뀐것

2)생산가능 곡선 자체의 이동

 : 주어진 요소 투입량이 증가하거나, 기술진보가 발생하면 생산가능곡선 자체가 이동한다. 

 

(4) 한계변환율-생산가능곡선의 기울기 

① 생산가능곡선의 기울기는 한계변환율(MRT: marginal rate of transfromation)로서 요소투입량이 일정하게 주어진 상태에서 X재를 한단위 더 생산하기 위해 포기해야하는 Y재의 양으로 정의한다.

②한계변환율은 재화생산에 있어 기회비용을 나타내며 두 재화 생산에 있어 한계비용의 비율로 표현할 수있다. 

MRTxy=-△Y/△X=MCx/MCy (MC:한계비용)

③생산가능곡선의 기울기는 2이며, 이는 X재를 1단위 더 만들기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 Y재보다 2배 더 든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5) 생산가능곡선이 원점에 대해 볼록, 오목, 직선인 경우 

1)생산가능곡선이 원점에 대해 오목한 경우 - 기회비용체증 

①생산가능곡선(PPC)은 일반적으로 원점에 대해 오목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는 추가적인 생산에 따른 기회비용이 체증하기 때문이다.

② X재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포기해야하는 Y재의 수량이 10에서 30으로 증가하므로 기회비용이 체증한다. 

2)생산가능곡선이 원점에 대해 볼록한 경우 - 기회비용 체감

①X재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포기해야하는 Y재의 수량이 30에서 10으로 감소하므로 기회비용이 체감한다.

② 규모의 경제가 발생하면 기회비용이 체감한다. 규모의 경제란 생산량이 증가할 수록 평균 비용이 감소하는 경우를 말한다. 

3)직선인 경우 - 기회비용 불변

① X재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포기해야하는 Y재의 수량이 20으로 일정하므로 기회비용이 일정하다

② 일반적으로 생산요소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생산가능곡선이 우하향의 직선형태를 갖게 된다. 

③ 국제무역론의 리카도의 비교우위론에서는 기회비용이 일정한다ㅔ 그 이유는 생산요소가 '노동'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생산가능 곡선이 우하향인 이유는 투입되는 생산요소 투입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 즉 희소성의 법칙이 성립하기 때문에 생산가능 곡선은 우하향의 형태를 갖는다"

 

 

 

반응형

'일상 > 공부(테샛)' 카테고리의 다른 글

02. 경제학의 방법론  (0) 2022.02.23
테셋 목차  (1) 2022.02.21
테샛 공부법  (2) 2022.02.15
테셋 준비 시작  (1) 2022.02.1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