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n3

장루 간호 장루란? 소장 및 대장 내 질병으로 인해 소장 혹은 대장의 일부를 복벽을 통해 꺼내서 장에 구멍을 내어 복부에 고정한것. 장루의 종류 장루유형에 따른 배설물의 양상 ∙ 회장루: 대변은 일반적으로 묽은변이다. ∙ 결장루: 대변은 부드러운 고형이다. ∙ 요루/회장도관: 소변에는 최소한의 점액이 존재한다. ∙ 요루 스텐트: 스텐트는 각 요관에 배치되고 장 문합부위를 보호한다. 스텐트는 일반적으로 5∼14 일 또는 그 이후 제거된다. 대상자는 스텐트를 가지고 퇴원할 수 있으며, 스텐트는 세척하지 않는다. ∙ 대상자/보호자에게 스텐트가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파우칭 시스템 교환 시 주의가 필요함을 교육한다. 정상 장루의 모양 1) 장루 ∙ 색깔: 장루의 색깔은 빨갛고 촉촉해야 한다. ∙ 돌출의 정도: 이상적으로 .. 2022. 5. 1.
중심정맥관 관리 중심정맥관 관리의 일반적인 원칙 -중심정맥관의 사용을 가능한 줄일 수 있도록 계획하에 처치를 수행한다 -모든 처치시에 반드시 무균적 방법을 적용한다 -중심 정맥관 합병증의 증상 및 증후를 매 처치 시 마다 관찰 (통증, 발적, 부종, 경결, 압통, 발열, 오한 수액 주입이나 채혈의 어려움, 카테터 외부길이의 변화, 분비물) -드레싱은 필름 드레싱을 우선으로 하고 경우에 따라 멸균 거즈를 적용한다. (Gz dressing의 경우 EOD, tegaderm 필름 드레싱의 경우 일주일마다 소독이 필요함) -카테터의 막힘을 예방하기 위해 수혈이나 채혈 후 침전물 발생 가능성이 있는 약재의 투여 후에는 반드시 10~20ml의 생리식염수를 주입한다. - 약물 주입시 압력에 의한 카테터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3ml 이.. 2022. 4. 29.
IMC 의학용어 AAA abdominal aortic aneurysm 복부 대동맥류 AF atrial fibrillation 심방세동 AS aortic stenosis 대동맥판막협착증 ASD atrial septal defect 심방중격 결손증 CAB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관상동맥우회술 CAG coronary angiography 관상동맥조영술 PCI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CAG, CABG,PCI 공부해보기 EPS electro physiologic study 전기생리학적 검사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심폐소생술 DNR do not resuscitation 심폐소생술 거부 ※추가 질병 공부.. 2022.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