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경 TESAT3

02. 경제학의 방법론 1. 경제이론 (1)경제이론의 필요성 경제현상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복잡한 경제현상을 단순화 하여 보편적인 법칙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2) 경제이론의 구성 1)가정의 설정 ①복잡한 경제현상을 단순화 하기 위하여 가정을 설정한다. ② 경제현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뽑고 다른 요인들은 '일정불변이다'라고 가정하여 인과관계를 추론한다. 2)모형의 정립 ① 단순화된 경제현상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통하여 모형을 만든다. ② 모형은 가정과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지며 '다른 조건이 일정하다면(ceteris paribus)'의 가정이 자주 사용된다. 3)검증 ① 모형이 현실과 잘 부합하는지 검증을 하고 검증 되면 모형에서 경제이론으로 수용된다. ② 즉, 경제모형은 검증된 모형을 말한.. 2022. 2. 23.
01.경제학 기초 1.경제학이란? (1)개념 ①경제학은 희소한 경제적 자원을 활용하는 최선의 방법을 선택하는 학문이다. ②따라서 희소성(scarcity)과 선택(choice)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경제학의 본질을 형성하고 있다. (2)희소성의 법칙-자원제한, 욕망 무한 ①인간의 욕망은 무한한 데 비하여 이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경제적 자원은 제한되어 있어서 경제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②경제적 자원이 제한되어 있다는 의미는 ㅈ화의 절대적인 양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욕망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을 말한다. (3)합리적 선택 ①합리적인 선택이란 여러 선택 가능성 중 가장 작은 대가를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②그러므로 합리적 선택을 위해서는 각가의 선택이 요구하는 대가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야 하며 .. 2022. 2. 22.
테셋 목차 Ⅰ.경제 기초 01.경제학 기초 02.경제학의 방법론 Ⅱ.미시경제 03. 수요와 공급, 시장 균형 04. 탄력성 05.수요 및 공급이론의 응용 06.소비자 이론 07.생산자 이론 08.시장조직이론 09.생산요소시장과 소득분배 이론 10. 시장 실패 11. 공공선택이론과 행동 경제학 Ⅲ.거시 경제 12. 국민소득결정이론 13. 화폐금융론 14.물가와 실업, 인플레이션 15. 경기변동과 경기안정화 정책 16.국제경제학 Ⅳ.경영 및 금융 17. 회사 18.회계 19.금융 2022. 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