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외과 간호사4

마비의 종류 1. Paralysis, plegia, palsy(완전마비) 사전적 의미 : Paralysis is a loss of muscle function in one or more muscles. 종류 Monoplegia(단마비, 단일마비) : 사지 중 하나의 마비, 일반적으로 팔의 마비 : 원인 뇌성 마비,뇌졸중,Lacunar 스트로크,뇌종양, 다발성 경화증, 브라운 세 쿼드 증후,운동 뉴런 질환, 요추 방사선 치료 신경 외상,신경 염증,신경 충돌,신경에 영향을 미치는 악성 종양,단핵구 염 멀티 플렉스 Diplegia(양마비, 양지마비) : 양쪽 상지 또는 양쪽 하지의 마비 : 원인 뇌나 척수에서 비롯, 고갈의 일반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뇌졸중, 종양, 외상, 다발성 경화증 ,뇌성 마비, 대사 장애, .. 2022. 4. 26.
골다공증(Osteoporosis)/골감소증(Osteopenia) BMD (Bone Densitometry) : 키, 몸무게 적은 쪽지 영상의학과에 보내기 : 골다공증 환자, 위험군 환자의 경우 1년에 한번 f/u (위험군-폐경 여성, 당뇨, 골다공증 유발약제 복용중인 환자) (정상 BMD, 70세 이상 남자 환자의 경우 2년에 한번 f/u 하면 됨) : Lumbar, femur 검사 함. (오더: BMD spine & Femur) (검사 부위 Implant 있을 경우, 검사 불가능 할 수 있음/ 영상의학과 확인 필요) (femur에서 ward는 대사변화를 잘 반영하지만, 정밀도가 나쁘고 과잉 진단될 위험성이 있어 사용하지 않음) (Lumbar의 경우 L1~4 사이값을 측정함) : Z-score를 주요 참고 범위로 함 ( T-score 는 환자와 젊은 정상 성인 군의 .. 2022. 4. 25.
K-L grade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 진단에 이용되는 척도 KL GRADE 1 정상에 비해 관절간격이 좁아진 것이 의심되는 정도이며, 경골이나 대퇴골이 조금 뭉툭해지는 정도의 변화가 관찰됩니다. 약간의 통증이 있으나 보행에 큰 지장이 없고 연골손상정도가 양호한 편이기 때문에 초기 관절염에 해당합니다. 주로 보존치료를 시행하며, 통증완화 및 연골퇴화를 지연시키는 방법을 쓰고 약물치료, 물리치료 및 한방치료를 병행하는게 좋습니다. ​ ​ KL GRADE 2​ 관절간격이 정상에 비해 명확하게 좁아지고 골극이 명확하게 보입니다. KL GRADE 1과 같이 수술보다는 보존치료로, 약물치료나 연골주사 또는 DNA 주사와 등의 주사치료를 통해 무릎의 퇴행성 변화를 최대한 늦추는 것이 좋습니다. =>콘쥬란, 시노비안 INJ 고려 ​ .. 2022. 4. 24.
부정맥과 심전도 EKG 개념 1. skin prep EKG node가 잘 부착될 수 있도록 부착부위를 알콜솜으로 닦는다. 환자의 몸에 부착된 금속물질들을 제거한다. 몸을 편안하게 하고 사지가 서로 닿지 않도록 위치시킨다. 2.정확한 위치에 전극을 부착한다. 3.심전도 측정하는 동안 환자가 말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교육한다. ★심전도의 크기 1mv=10mm , 기록용지의 속도 25mm/sec(5칸이 0.2초) (RR간각이 25칸이면 심박수는 60) cf)EKG monitor 사용시 EKG node 부착법 ★흰검빨, 빨노초 1.정상 ECG Sinus rythm HR 60-100 1)sinus node dysrhythmias 동성 부정맥 -Sinus Tachycardia 동성빈맥 -Sinus Bradycardia 동성서맥 -Sinus D.. 2022.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