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공부(간호)

골다공증(Osteoporosis)/골감소증(Osteopenia)

by treedoll 2022. 4. 25.
반응형

BMD (Bone Densitometry)

  : 키, 몸무게 적은 쪽지 영상의학과에 보내기

  : 골다공증 환자, 위험군 환자의 경우 1년에 한번 f/u

    (위험군-폐경 여성, 당뇨, 골다공증 유발약제 복용중인 환자)

    (정상 BMD, 70세 이상 남자 환자의 경우 2년에 한번 f/u 하면 됨)

  : Lumbar, femur 검사 함. (오더: BMD spine & Femur) 

    (검사 부위 Implant 있을 경우, 검사 불가능 할 수 있음/ 영상의학과 확인 필요)

    (femur에서 ward는 대사변화를 잘 반영하지만, 정밀도가 나쁘고 과잉 진단될 위험성이 있어 사용하지 않음)

    (Lumbar의 경우  L1~4 사이값을 측정함) 

  : Z-score를 주요 참고 범위로 함

    ( T-score 는 환자와 젊은 정상 성인 군의 비교

     Z-score 는 환자와 동일 나이/성별 군의 비교)

 

Osteopenia vs Osteoporosis

Osteopenia 골감소증

정상적인 골융해를 보상하기에 충분한 수준의 골합성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일어나는 골부피의 감소.

 

<치료>

1.칼슘제

2.여성호르몬제

*골감소증의 비급여 치료 

  :  랄록시펜 - 척추골절 예방 효과

  : 비스포스포네이트 - 골밀도 증가하나, 골절율 감소와 관련↓

 

Osteoporosis 골다공증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쉽게 골절되는 골격계 질환이다.

 

<검사>

1. CBC, LFT, Ca, P, ALP, Cr

2. 25-(OH)D Vt.D

3. bone marker

4. Vertebral imaging

5. 필요시 2차성 골다공증 검사 

 

<치료>

1.비스포스포네이트 

  : 경구제 - 알렌드로네이트, 리세드로네이트, 이반드로네이트, 졸레드로네이트, 파미드로네이트

  : 주사제 - 이반드로네이트, 졸레드로네이트, 파미드로네이트

2.선택적 여성호르몬 수용체 조절체(SERM)

  : 뼈에서 에스트로겐 유사작용, 척추골절 위험도 유의하게 감소시킨다. 

  : 경구제 - 랄록시펜, 바제독시펜

3.부갑상선 호르몬(PTH)

  : 유일한 골형성 촉진제, 골밀도의 증가와 더불어 척추 및 비척추 위험도를 감소시킨다.

4.RANKL (recepoer activator of NF-kB ligand) 단콜론항체

   : 데노수맙 - 파골세포 활성화 및 분화에 필수적인 RANKL 단콜론 항체

                     6개월마다 60mg 피하 주사 한다.

5.여성호르몬(Estrogen)

6.티볼론

  : 합성 스테로이드, 조직선택적으로 에스트로겐, 안드로겐, 프로게스테론 특성을 보임. 

  : 유방과 자궁내막 조직은 자극하지 않으면서 폐경증상의 완화 및 폐경 후 골소실 예방 효과 

7.조직선택적 여성호르몬 복합제(TSEC)

  : 여성호르몬 + 바제독시펜

8.활성형 비타민D

9. 비타민 K2

 

<생활관리>

1.칼슘섭취

  : 칼슘 함량이 높은 음식 권고 - 우유, 멸치, 말린새우, 두부 콩류 등

2.비타민  D 보조제 

  : 하루 800IU 이상 권장, DALFA 1T(D) 사용

  ==>칼슘, Vt D 병합이 효과적

3.운동

4.절주 및 금염

5. 카페인 음료 섭취 지양, 저염 지향

6.낙상 예방 교육 및 낙상 환경 개선

 

<중증 골다공증 치료>

 

약물 치료에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함

 

1.골절 발생 시 가능 한 조기 수술 후 거동 권장하여 사망이나 내과적 합병증(폐색전증, 폐렴, 요로감염, 욕창 등)의 발생을 예방한다.

2.골밀도와 무관하게 재골절 발생 위험과 사망률이 높으므로, 골밀도(골량)와 미세구조(골질)를 동시에 높여 추가 골절을 막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3.골다공증 약제의 기존 복용 경험이 없는 경우는 일반 원칙에 따라 비스포스포네이트, 선택적 여성호르몬 수용 조절제, 부갑상선 호르몬, RANKL 단클론 항체등의 약물을 사용한다.

 단, 골형성 촉진제와 강력한 골흡수 억제제를 보다 적극 고려한다.

4.다발성 골절이나 골흡수 억제제 약물 치료를 받아왔으나, 골절이 발생한 심한 중증 골다공증의 경우, 골형성 촉진제 중심의 약물 치료를 권고한다. 

   

 

① 호르몬 요법 : 폐경기 여성의 경우 에스트로겐 호르몬 감소가 골다공증의 주요한 원인이다. 따라서 경구 약물 및 피부에 붙이는 패치 등으로 호르몬을 보충해주어 골다공증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체내에서 에스트로겐 유사 작용을 일으키는 약물은 폐경기 골다공증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② 약물요법 : 뼈가 흡수되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알렌드로네이트(alendronate , Fosamax), 리세드로네이트(risedronate, Actonel), 라록시펜(raloxifene, Evista), 이반드로네이트(ibandronate, Boniva), 칼시토닌(calcitonin, Calcimar), 졸레드로네이트(zoledronate , Reclast) 등의 약물과 부갑상선 호르몬의 재조합 형으로 뼈의 생성을 촉진할 수 있는 테리파라타이드(teriparatide) 등의 약물이 있다

 

 =>테리, 데노수, ALFA, MARV, CHACHEW

  =>골다골증 약 복용시 뼈의 유연성은 감소하여, 오히려 골절 위험성이 높아지기도 함.

반응형

'일상 > 공부(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심정맥관 관리  (0) 2022.04.29
마비의 종류  (0) 2022.04.26
K-L grade  (0) 2022.04.24
심장표지자/cardiac marker  (0) 2022.04.23
부정맥과 심전도 EKG 개념  (0) 2022.04.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