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증상
의식 변화, 언어장애, 시야장애, 반신마비, 어지러움관련질환뇌졸중, 일과성 뇌허혈증진료과신경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소아신경과동의어ischemic stroke,경색성 뇌졸중,뇌경색증,뇌색전증,뇌혈전증,허혈성 뇌졸증
정의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혀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목 부분에 있는 경동맥, 척추-기저동맥부터 우리 뇌 안에 있는 아주 작은 지름의 동맥까지 어떤 혈관이든 막힐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하여 지속적인 증상이 남습니다.

원인
동맥경화증에 의해 병든 혈관에서 주로 발생하는 혈전(핏덩어리)은 심장에서 뇌로 가는 내경동맥이나 뇌혈관 중 어떤 곳에서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전이 혈관을 막거나 혹은 처음 형성된 부위에서 떨어져 나가 다른 혈관을 막는 것을 색전이라고 합니다. 혈전이 심장이나 굵은 뇌동맥 등에서 떨어져 나와 말단부 뇌혈관을 막아서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말단부 혈관이 아주 좁아진 경우 허혈성 뇌졸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증상
뇌경색의 증상은 혈관이 막힌 혈관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반신 불수, 언어 장애, 시야 장애, 어지럼증, 의식 소실 등이 나타납니다.
weakness or numbness of the face, arm, or leg on one side of the body
loss of vision or dimming(like a curtian falling) in one or both eyes
loss of speech, difficulty talking, or understanding what others are saying.(disarthria)
sudden, eveere headache with no known cause
-사정시
의식수준 GCS, 사지근력평가 motor power grade, 의식수준 사정 LOC
진단
뇌 전산화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 등의 검사를 통해 뇌신경 및 뇌혈관의 상태를 파악한 후, 그에 따른 약물 치료나 수술 치료를 고려합니다.
<검사>
DWI
MRI brain
MRA brain
MRA carotid(E')
TCD/BEAP
(IMC)Echo, holter
CBC(10200-10.5-217K) E(140.3-4.4-114.1)CoaB(N) LiverB(P/alb 5.8/3.3)
homo(N)lipidB(T-chol 104.9)VtB12(961)folate(N)ESR/CRP(N)Mg(N)Ca(8.3)
Phos(N)TSH(N) T3(N) freeT4(N) HBsAg/Ab(N/P) PRP(N) HbA1C(N)
UA(cloudy, WBC 3+, >=30, Nit 1+, bac: many)
CPA,La, abdS
치료
1. 약물 요법(혈전용해제, 항혈전제)
① 혈전용해제
뇌혈관이 막혀 뇌 혈류가 차단되면 불과 몇 시간 내에 뇌 조직에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이 생깁니다. 따라서 수 시간 이내에 막힌 뇌혈관에 혈전용해제를 투여하여 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녹여 뇌 혈류를 재개해야 합니다. 치료가 잘 되면 증상은 즉시 호전되며, 수일 이내에는 완전히 회복됩니다.
혈전용해제의 투여 방법은 정맥 내 투여 방식과 동맥 내 투여 방식 두 가지입니다. 동맥 내로 직접 투여하는 방식은 효과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그 효과도 우수한 반면,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어 항시 시행하기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정맥 내 투여 방식은 뇌졸중 발생 3시간 이내에 사용 가능하며, 간단하기는 하지만 그 효과를 즉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때때로 치명적인 뇌출혈을 발생시키는 부작용이 있지만, 아직까지는 치료에 관한 한 가장 뛰어난 치료 효과를 보입니다. 적어도 3시간 내지는 6시간 내에 치료를 시작할 수 있도록 시간을 놓치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② 항혈소판제제
동맥 경화 상태의 혈관 벽에 혈전이 생기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항혈소판제제를 투여해야 합니다. 대표적인 항혈소판제제로는 아스피린, 플라빅스, 티클리드, 플레탈 등이 있습니다.
③ 항응고제
심장 질환에 의한 뇌색전증, 혈관 박리 등에 의한 뇌경색인 경우 피의 응고를 저지시키기 위해 항응고제를 사용합니다. 항응고제가 지나치게 많이 투입되면 뇌출혈이 생길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항응고제 투여 중에는 여러 번 피 검사를 하여 피의 응고 상태를 적정 수준으로 맞추어야 합니다. 항응고제의 투여 방법에는 주사 제제인 헤파린과 경구용 제제인 쿠마딘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헤파린을 사용하고, 3~4일 쿠마딘과 병용하다가 헤파린을 끊습니다. 경구용 쿠마딘은 대사 작용으로 인해 약효가 잘 변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2. 비약물 요법(혈관 성형술, 스텐트 삽입술, 경동맥 내막 절제술)
두개 내외 뇌동맥이 심하게 좁아진 경우 약물 요법만으로 뇌졸중 재발을 막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뇌동맥의 협착 정도 및 양상, 기타 환자 조건에 따라 좁아진 혈관을 넓혀 주는 스텐트 삽입술이나 동맥경화 자체를 없애 주는 경동맥 내막 절제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치료(acute CI)
Triple H Tx (hypertension, hypervolemia, hemodelution) :혈관연축예방을 위함
1)CVP 8-12mmHg 유지
- hypervolemia
2)Hct <30-32유지
- 미세순환(microcirculation)을 호전시키고 높으면 혈류가 느려져 뇌졸중, 심장질환의 위험도가 높다.
3)SBP 180까지는 obs.
-뇌혈류 증가, 산소운반↑
-복용하던 PO stop 후 SBP 180 이상 측정시 noti 후 restart 확인
- anticoagulation PO
Q1 ATIX 3C, PLA-N 4T loading
Q2~3 각 1T(D)감량
PRADA11 1C(DE)
-ABR(검사 진행 시 S-car 이용) or W/C amb
-과거력에 맞는 식이 유지
-I/O 측정 : Positive 1000 이상의 경우 noti 하여 lasix 투약 확인
-fluid : NS1B(B)(total 2L 20gtt) or NS1B+NLX 12@
lipid fluid Dextrose mix fluid 사용 지양
-glucose : DM 없던 환자도 Q3 동안 Qid 측정 유지
-IMC, RM 협진 작성 필요
뇌졸중 초기 평가표 작성 필요
Dr의 NIHSS평가 필요 =>작성후 평가 받아서 담당병동으로 보내기
-weakness side line 잡는거(X)
'일상 > 공부(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K-L grade (0) | 2022.04.24 |
---|---|
심장표지자/cardiac marker (0) | 2022.04.23 |
부정맥과 심전도 EKG 개념 (0) | 2022.04.23 |
치매와 노인 인지기능검사 (0) | 2022.04.19 |
IMC 의학용어 (0) | 2022.04.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