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의 증상:ABC>
1.인지기능장애 (Cognition)
2. 일상생활능력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장애
3. 이상행동 (Behavior)
Cf. 경도 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1. 정상도 아니고 치매도 아님.
2. 인지기능이 과거에 비해 저하됨.
3. 신경심리검사에서 객관적인 인지기능의 저하가 있음.
4. 복잡한 일상생활기능은 정상이거나 아주 약간 저하됨.
예후) 알츠하이머병으로 진행 :1년에 10-15% 6년 이면 80%
치매 중등도 평가의 중요성
1. 환자의 치매 중증도를 알아야 약물의 선택 및 치료 계 획 수립,
환자의 상태 및 경과, 간병 지침을 보호자에게 설명할 수 있음.
2. 치료 과정에서 환자의 변화를 추적하는데 기준이 됨.
3. 무학이나 문맹에서 MMSE 점수맊으로는 치매의 중증도 판단이 어려움
4. 치매치료제의 국민건강보험 급여인정 기준이 됨.
5. 치매보험들의 보상기준이 됨.
6. 치매치료제의 임상 시험에서 유효성 변수로 홗용.
특히, CDR-SB는 경도인지장애 대상 임상에서는 1차 유 효성 변수로도 활용
<치매 중증도 평가>
신경인지실 예약 필요
MMSE/CDR/GDS
MMSE
24-30 인지적 손상 없음
18-23 mild cogmitive impairment
0-17 severe cognitive impairment
Clinical Dementia Rating Scale (CDR)
환자 및 보호자와 자세한 면담 후 평가 인지 장애로 인한 기능의 저하만을 평가
6가지 세부 항목 (항목마다 등급: 0, 0.5, 1, 2, 3)
1) 기억력 2) 지남력 3) 판단력과 문제 해결 능력
4) 사회활동 5) 집안생활과 취미 6) 위생 및 몸치장
CDR 점수
- Sum of Boxes: 6가지 세부항목 점수의 총합 (0-30점)
- Global score
CDR0: 정상
-----------------------------
(CDR-SB, 0.5-2.0),경도 치매
CDR 0.5: 경도인지장애
CDR 1: 경함 (Mild)
CDR 2: 중등도 (Moderate)
----------------------------
CDR 3: 심함 (severe)
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
GDS 1 : 인지장애 없음
GDS 2: 주관적 기억장애
GDS 3: 경도인지장애 초기 치매
GDS 4: 경도 치매
GDS 5: 경도, 중증도 치매
GDS 6: 중증도, 중증 치매
GDS 7: 말기 치매
SNSB
SNSB(Seoul Neuropsychologic Screening Battery)를 이용하여 치매 선별 즉, Screenig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이 검사는, 환자가 기억력이나 언어 장애, 시공간능력의 장애 등을 보일 때, 이러한 변화가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정상적인 인지기능의 저하인지, 혹은 치매의 초기 단계에 발생하는 인지적 결함인지를 확인할 수있다.
치료
1.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억제제
1) 아리셉트 (도네페질)
2) 레미닐 (갈란타민)
3) 엑셀론 (리바스티그민)
**최근에 엑셀론 패치 제형이 나옴 : 위장장애가 적음
*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 억제제의 부작용 : 오심, 구토, 설사, 현기증, 두통, 체중감소
2. 메만틴
'일상 > 공부(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K-L grade (0) | 2022.04.24 |
---|---|
심장표지자/cardiac marker (0) | 2022.04.23 |
부정맥과 심전도 EKG 개념 (0) | 2022.04.23 |
cerebral infarction(뇌경색) 간호 (0) | 2022.04.15 |
IMC 의학용어 (0) | 2022.04.11 |
댓글